반응형
묵혀둔 라스베리파이 다시 꺼냈습니다.
4년동안 별 활용도 없이 조금 해보다 말고를 반복했는데 이번엔 진짜로 갑니다.
HTTPS 서비스
라즈베리파이 꺼내서 서버 설치하고 node.js 로 https 서버도 띄웠습니다.
주소는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DDNS 인가? 하는 이름 서비스 받아왔구요
letsencrypt 의 webroot 방식으로 인증 받아 사용중입니다.
진작 이렇게 쓸껄 돌아돌아 여기까지 왔네요
https 주소: https://sid123.tplinkdns.com/
기능은 없고 표시만 된다 수준입니다.
TCP 서버
telnet sid123.tplinkdns.com 3001
입력하고 엔터치면 echo 해 줍니다.
되는지만 확인한거라
MYSQL 설치 & drizzle orm
mysql 이 없어졌고 mariaDB 가 생겼습니다.
둘은 호환 되는거라 기능은 동일합니다.
orm 을 사용해 보려고 설치한거라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.
DRIZZLE ORM 은 코드로 db 를 관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
코드에 테이블을 만들면 db 에도 테이블이 생기고 코드를 고치면 db 도고쳐지고
자동완성도 되고 그런식입니다.
처음부터 제대로 테이블을 만들 수 없고 쿼리오류가 나서 몇가지 기능은 빼버렸습니다.
겨우 select insert 만 해서 놔둔 상태입니다.
DRIZZLE 은 최근에 나온 ORM 인데 문제가 좀 있습니다.
날짜가 UTC 기반으로 저장되는데 다르게 저장할 방법도 없습니다.
그냥 저장할때 마다 UTC 에 + 9시간 더하던지 해야하는거 같은데
좀더 써봐야겠습니다. 진지한 서비스는 아직 못할 수준이군요
반응형